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예비부부를 위한 결혼식 평균 비용 예산에 대한 가이드(feat.2024년 기준)

by 방구석촌놈 2025. 3. 9.
반응형

최근 한국에서 결혼식을 준비하는 예비 부부들은 상당한 비용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결혼식의 규모, 장소, 선택한 서비스 등에 따라 비용은 크게 달라지지만, 전반적인 평균 비용은 상당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혼식 평균 비용

2024년 기준, 결혼 준비에 드는 평균 비용은 약 6,298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주요 항목별 평균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예식장 대관료: 평균 1,283만 원
  • 스드메(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비용: 약 479만 원
  • 혼수 준비비: 2,615만 원

또한, 신혼집 마련 비용을 포함하면 전체 결혼 비용은 약 3억 원에 육박합니다.

이는 예비 부부들에게 큰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결혼식 유형별 비용

결혼식의 형태에 따라 비용은 크게 달라집니다. 주요 결혼식 유형별 평균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몰웨딩: 소규모 레스토랑, 갤러리, 카페 등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결혼식으로, 하객 50명 기준 총 예산은 500만 원 ~ 1,000만 원 정도입니다.
  2. 컨벤션 웨딩: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선택하는 예식 형태로, 모든 것이 세팅되어 있어 선택만 하면 됩니다. 하객 250명 기준 총 예산은 2,000만 원 ~ 3,000만 원 정도입니다.
  3. 호텔 웨딩: 럭셔리한 분위기와 고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식 형태로, 하객 250명 기준 총 예산은 5,000만 원 이상으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비용 절감을 위한 대안

높은 결혼 비용으로 인해 예비 부부들은 다양한 비용 절감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공공 예식장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공공 예식장은 대관료가 무료이며, 꽃 장식과 피로연 비용을 포함한 총 예산이 하객 100명 기준으로 959만 원에서 1,321만 원 정도로 비교적 저렴합니다.

 

결론

최근 결혼식 평균 비용은 예비 부부들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결혼식의 형태와 규모, 그리고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 비용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산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결혼식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공공 예식장 등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반응형